AirGradient ONE v9 리뷰 및 설정기
Last updated: Apr 5, 2024
실내 공기질 측정기인 AirGradient ONE (국내최초) 리뷰 및 설정기이다.
구매 계기
우리나라는 사계절 내내 편서풍으로 미세먼지가 많이 유입되는 편이다. 그래서 필자는 항상 미세먼지 수치를 확인하고 나가는 습관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실내에서의 공기 오염도를 알기는 어렵다. 그러던 중 EBS에서 방영한 건축탐구라는 프로그램을 부모님과 보게 되었다.

출처: EBS 건축탐구 (https://youtu.be/M4zY88Ze0Fs)
패시브 하우스를 소개하는 회차였는데, 여기서 개발자이신 집주인분이 집 내부의 공기질을 측정하는 장비를 설치하고, 이에 맞게 자동으로 집 내부 공기를 순환시키는 시스템을 구축하셨다. 또한 한눈에 보기 편하게끔 벽에 아이패드를 설치하고 공기질 관련해서 대시보드를 제작했음을 보여주셨다. 부모님이 본가에도 해당 유튜브에서 소개된 패시브 하우스처럼 IoT 시스템을 구축하고 싶어 하셨고 필자한테 가능하겠냐고 물어보셨다 😂. 당연히 IoT 쪽은 문외한이었고, 대시보드가 Grafana로 만들어졌다는 것만 일단 확인이 가능해서 이때부터 어떻게 시스템을 구축했는지 센서부터 알아보기 시작했다. 이번 글에서는 공기질 측정 센서에 대한 내용만 다룰 예정이다.

출처: EBS 건축탐구 (https://youtu.be/M4zY88Ze0Fs)
우선 여기서 보여준 실내 측정 기구는 Atmotech 사의 Atmocube라는 제품이었다. 하지만 홈페이지를 보면 이 제품은 개인한테는 판매하지 않는다고 적혀있다. 출연하신 분은 어떻게 제품을 구하셨는지 모르겠다. 따라서 동일한 제품은 아니더라도 센서의 정확도만 높으면 될 것 같아 다른 제품을 찾아보았다.

우선 Atmocube는 RESET™ Air 인증을 받은 디바이스이다. 해당 인증은 세계 최초의 센서 기반, 활동 기반 실내 공기 구축 인증 제도인데, 해당 인증을 받기 위해서는 PM2.5, TVOC, CO2, 온도, 습도를 측정할 수 있는 센서가 구비되어야 하고, 해당 센서를 통해 데이터를 꾸준히 수집할 수 있어야 한다. 수집된 데이터 또한 클라우드로 전송되어 어디서든 볼 수 있게끔 제작되어야 한다. 각 센서별 오차 범위도 기준을 통과해야 인증을 받을 수 있다. (참고) 따라서 RESET™ Air 인증을 받은 제품들 중에서 구입 가능한 제품을 찾아보았다.

그러던 중 AirGradient ONE이라는 제품을 발견했다. 해당 제품은 RESET™ Air 인증을 받은 제품이었고, PM1, PM10, NOx 측정 센서도 갖추고 있었다. 2023년에는 Airlab에서 주최한 International Microsensor Challenge에서 다중 오염 물질 측정 분야에서 우승도 했다. (참고) 그리고 PCB가 아두이노 기반이었기에 아두이노로 펌웨어를 수정할 수 있고, 오픈소스로 펌웨어를 모두 공개 해놓은 상태였다. 유지보수 및 관리가 용이할 뿐더러 다른 회사의 제품보다 최소 10~20만원 이상 저렴했기 때문에 이 제품보다 좋은 선택은 없다고 판단했다.
개봉 및 설정

제품은 태국에서 국제우편 등기로 보내준다. 약 10일 정도 걸린다.
박스 안에는 본체, 받침대, 그리고 케이블로 구성되어 있다. 충전기는 별도로 준비해야 되는데, USB-A 타입이 꽂히는 5V 2A 충전기여야 하니 미리 준비해둔다.
전원을 키면 와이파이에 연결하라는 메시지가 뜬다. 디바이스 뒤에 와이파이 전용 QR 코드를 찍으면 쉽게 연결할 수 있다. 와이파이를 연결하면 와이파이 로그인 창으로 자동으로 리다이렉션 해주는데, 여기서 연결할 와이파이를 선택하고 암호를 입력해 주면 그 뒤로는 알아서 해준다.
AirGradient에서 제공하는 대시보드는 우선 여기서 회원가입을 할 수 있다. 회원가입을 하고 로그인이 되어있는 상태에서 디바이스 뒤에 있는 대시보드 연결 QR 코드를 찍으면 디바이스 등록 페이지로 이동한다. 여기서 디바이스 이름을 설정하고, 디바이스가 설치된 장소를 설정해 주면 된다.

이렇게 추가하면 기본적인 설정은 끝이다. 이제부터는 AirGradient 대시보드에서 실시간으로 공기질을 확인할 수 있다. Grafana를 이용하여 대시보드를 구축하는 방법은 다음 Dev Posting에서 다루겠다. (바로가기)